그래도 환경

💁‍♂️ [환경교육] 자원순환.. 분리배출에서 시작! 그리고 탄소중립~

미남시바 2021. 5. 20. 12:56
반응형

자원순환의 기본은 '분리배출'! 분리배출을 알아야, 자원순환이 시작된다!

 최근에 분리배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자원순환이 중요한지를 알아보도록하자. 그리고 자원순환의 근본이 되는 일상생활에서의 분리배출의 중요성도 함께 알아보자. 자원순환의 기초는 바로 분리배출이다. 이로 인해서 자원의 희소성과 환경오염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 탄소중립과 분리배출에 대한 관심과 이목이 집중되어 있다.

1) 자원순환

자원이란, 인간 생활 또는 경제 생산 등에 이용되는 광물, 산림, 수산물 등과 같은 원료를 총칭하는 것이며 순환이란, 주기적으로 자꾸 되풀이되고, 도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자원순환이란, 생산이나 소비 등의 사회활동 및 경제활동 등에 수반하여 불필요한 것이 발생되지만, 그 것을 폐기하지 않고, 다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리사이클, 자원재순환, 재이용 등으로 말하고 있다. 또한 폐기라는 것은 쓸모 없어져 버리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자원순환의 용어를 쉽게 해석하면, 쓸모없어진 자원(물건 등)을 주기적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예전에는 재사용과 재이용을 같은 뜻으로 해석하여 정의하였지만, 최근에는 재사용과 재이용을 다른 의미로 해석하여 정의하고 있다. 이를 쉽게 재활용(*다 쓴 물건을 버리지 않고 다른 용도로 바꿔 쓰거나 고쳐 쓰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2) Why, 자원순환

우리가 흔히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자원순환 보다는 재활용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자원순환이라는 의미는 재활용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써, 우리가 자원순환을 위해 재활용을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눌수 있다. 첫 번째,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더 이상 인간에게 필요한 자원을 채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두 번째로는 환경오염에 따른 인간생활과 경제 활동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인간이 필요로 하는 재화나 물품 등을 만들기 위해, 자원을 채취하고 제조하고 공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오염물질과 환경호르몬 등의 피해에서 벗어나기 위함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률이 87%이며, 이외 버려지는 폐기물 중 7% 매립, 6% 소각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중 생활폐기물의 재활용률은 60% 이며, 매립 15%, 소각 25%으로 처리 되고 있다. 이에 생활폐기물의 재활용률은 60%에서 90%이상으로 늘리려는 다양한 정책과 시도 등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렇게 재활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인간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오염물질 및 침출수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재활용은 자원의 희소성을 넘어서, 인간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로 재해석되고 있다.

3) How, 행동

자원순환을 위한 일상생활에서의 기본 활동은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 행동이 있다. 이에 최근에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사용한 물건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을 변화 시킴) 캠페인과 레스 웨이스트(less waste, 최대한 일회용품과 쓰레기를 발생하지 않도록 생활화는 활동) 그리고 이를 시작으로 하는 미니멀 라이프(minimal life,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으로만 ’단순 생활‘ 하는 생활 방식)가 최근에 트렌드로 반영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소


그러기에, 자원순환에 근본이 되는 ’재활용 분리배출‘ 을 시작으로, 지역사회 및 가정, 그리고 청소년, 성인들이 참여하는 교육적 활동이 시작되고 있다. 그래서, 재활용을 위한 재질별(플라스틱, 병, 종이, 캔 등)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서 교육하고, 이를 위해 어떻게 행동하는 지를 알려주는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먼저, 재활용을 할 수 있는 물건과 쓰레기에 중에서 인간 생활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에 대해서 분리배출 방식을 알아보면, 플라스틱의 재질별로 분리배출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종류(HDPE, LDPE, PP, PE, PVC, PETE, OTER 등)에 대한 사전 숙지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종이, 캔, 유리병 등과 같은 재활용품도 재질에 따라 분리배출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재질별 분리 방식에 대한 기초 지식도 필요한 상황이다.

4) 그렇다면

왜, 사장님은 1회용 종이컵을 사무실에서 사용하지 말라고 하는 것일까? 종이컵 10개 모아서 재활용하면, 35m 휴지 1개를 만들 수 있는데... 그냥 내가 싫어서 그런걸까?

그리고 2022년도에는 왜 일회용컵 보증제도를 도입할까?

반응형